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빙부상 뜻 조문예절 조의금 봉투 작성법

by 숑이:) 2025. 3. 18.
728x90
반응형

 

빙부상 뜻 조문예절 조의금 봉투 작성법

 

💡 빙부상이란?

‘빙부상(聘父喪)’이란 아내의 아버지, 즉 장인이 돌아가셨을 때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. 쉽게 말해, 사위 입장에서 장인의 부고를 알릴 때 사용됩니다. 반면, ‘빙모상(聘母喪)’은 아내의 어머니(장모)가 돌아가셨을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.
조문이나 문상을 가야 할 때 ‘빙부상’이라는 단어를 부고장에서 접하게 되면, 유족이 누구인지 파악하고 적절한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🙏 빙부상 조문 예절

1️⃣ 조문 시간 선택

  • 보통 장례식장은 3일장(입관-발인-장지)으로 운영됩니다.
  • 첫날과 둘째 날에는 빈소에서 조문을 받을 가능성이 크며, 마지막 날(발인일)은 유족이 바쁘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저녁 시간대(퇴근 후 18~21시)에 조문객이 많으므로, 조용한 분위기를 원하면 오전이나 이른 오후 방문이 좋습니다.

2️⃣ 복장 & 태도

  • 검은색 계열의 단정한 복장을 착용합니다.
  • 남성: 검은 정장, 흰 셔츠, 검은 넥타이, 검은 양말, 검은 구두
  • 여성: 검은 원피스 또는 정장, 검은 스타킹, 무난한 신발
  • 장례식장에 들어서면 유족에게 조용히 목례 후 방명록 작성
  • 손을 가볍게 모으고 “삼가 조의를 표합니다” 또는 “깊은 애도를 표합니다”라고 말하며 인사

3️⃣ 조문 시 주의할 점

  • 지나친 위로나 감정적인 표현은 삼갑니다.
  • “좋은 곳으로 가셨을 겁니다” 같은 문장이 적절하며, “얼마나 슬프세요” 같은 말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너무 오래 머물기보다 적절한 시간 내에 조문 후 자리를 떠납니다.

빙부상 뜻 조문예절 조의금 봉투 작성법

💰 빙부상 조의금 봉투 작성법

1️⃣ 봉투 겉면 작성

  • 일반적으로 흰색 봉투를 사용하며, 검은색 또는 청색 펜으로 작성합니다.
  • 봉투 앞면: "부의(賻儀)", "조의(弔儀)", "삼가 조의를 표합니다" 중 선택하여 기재
  • 봉투 뒷면: 조의금을 전달하는 사람의 이름을 씁니다. (예: ○○○ 올림)

2️⃣ 조의금 금액

  • 일반적인 조의금 금액은 관계에 따라 달라집니다.
    • 친척: 10~30만 원
    • 회사 동료/직장 상사: 5~10만 원
    • 친구/지인: 3~5만 원
  • 홀수 금액(예: 3만 원, 5만 원)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, 4와 9가 들어간 금액(4만 원, 9만 원)은 피합니다.

3️⃣ 봉투 안 돈 넣는 법

  • 신권보다는 사용감이 있는 돈을 넣는 것이 예의입니다.
  • 지폐의 방향을 맞춰 넣고, 봉투의 아랫부분을 봉합니다.

🔎 마무리

빙부상을 당한 유족에게는 형식적인 예절뿐만 아니라, 따뜻한 마음이 전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. 조문 시 예의를 지키면서도 진심 어린 위로를 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

728x90
반응형